목차
파이썬에서 처리하는 모든것들은 자료라고 합니다. 간단한 사칙연산식을 예로 들어보자면 1+1 에서 1이 숫자형이라면 결과값은 2가 되지만, 1이 문자형이라면 문자와 문자를 붙이는 개념이 되어 결과값은 11이 됩니다(문자형으로 표현하려면 '1' 또는 "1" 등으로 표현하게 됩니다.). 이렇게 파이썬 코드를 구성하고있는 자료들에 대해 배운것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료형이란
파이썬에서 자료라고 하는것에는 숫자형, 문자형, 불, 변수, 리스트, 튜플, 딕서녀리, 집합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합니다. 같은 표현이지만 숫자형이냐 문자형이냐 변수냐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료의 자료형을 확인하는것이 필요합니다. 데이터의 종류 라고도 표현할수있는 자료형은 type()이라는 함수를 사용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파이썬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료형은 숫자형과 문자형인데, 숫자형은 정수형의 경우 int (integer)로, 실수형의 경우 float (floating)으로 표현을 하며 문자형은 str (string)으로 그 클래스를 표현합니다.
2. 숫자형
파이썬의 숫자형에서는 정수, 실수, 지수표현, 8진수, 16진수가 있는데, 정수형과 실수형이 주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정수는 소숫점이 없는 숫자를 뜻하고 실수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 print(type(50))
<class 'int'>
>> print(type(12.3))
<class 'float'>
3. 숫자 연산자
파이썬에서 숫자 자료를 연산하기 위한 숫자연산자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사칙연산
가장 기본적으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가 있습니다. 이런 사칙 연산자는 +, -, *, /로 입력하여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사칙연산자의 우선순위는 숫자를 계산할때 곱하기, 나누기가 먼저이며 그다음으로 더하기와 빼기 순서가 됩니다. 기본적인 연산자 우선순위보다 우선순위로 계산을 진행하려면 괄호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런 개념은 우리가 보통 알고있는 연산의 개념과 동일하죠.
정수 나누기 연산자
정수 나누기 연산자란 숫자와 숫자를 나눗셈을 할때 몫만 출력하는 개념입니다. 나눗셈을 할때에 몫과 나머지가 생기게 되는데 // 라는 표현으로 나눗셈을 입력하면 몫만 출력됩니다.
예를들어,
>>> print(5//2)
2
나머지 연산자
위에서 몫만 출력되는 연산자와 다르게 나머지 연산자는 몫과 나머지 중에서 나머지 값을 출력하는 연산자입니다. % 를 입력하여 나머지 값을 생성하게됩니다.
예를들어,
>>> print(15%2)
1
제곱연산자
숫자를 제곱하는 연산자로 2의 2승 이라는 숫자의 값(4)를 출력하고 싶을때 제곱 연산자인 ** 을 입력합니다.
예를들면, 2**2라고 입력하면 되겠습니다.
'지식의 공간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7. 파이썬 문자열 함수(.format 등) (1) | 2024.01.19 |
---|---|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6.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 (0) | 2024.01.14 |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4. 파이썬 기본 용어(표현식, 키워드, 식별자, print()) (0) | 2024.01.10 |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3. Visual Studio Code 실행하기 (3) | 2024.01.09 |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2. 파이썬 에디터(IDLE, Visual Studio Code 설치) (1)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