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공간/파이썬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4. 파이썬 기본 용어(표현식, 키워드, 식별자, print())

빈테리 2024. 1. 10. 00:13

목차

    반응형

    이 부분은 점프투파이썬에는 없지만, 추가로 함께 보고 있는 파이썬 독학 책인 혼공파(혼자 공부하는 파이썬)에 있는 내용으로 파이썬 왕초보자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정리해 봅니다.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위해 입력하는 문장들의 구성요소를 말하는 표현식, 식별자, 키워드, 연산자 등이 의미하는 것과 그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파이썬 문장이란?

    파이썬에서 실행되는 코드의 최소단위를 문장(Statement)라고 표현을 합니다. 엔터를 쳐서 오류 없이 실행이 된다면 한 줄의 문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줄한줄의 코드 즉, 문장들이 모여서 프로그램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 언어의 문장에서도 주어, 목적어, 형용사 등이 있듯이 파이썬의 문장에도 이런 구성요소들이 존재합니다.


    1. 표현식(Expression)

    파이썬에서 표현식이란 값을 나타내는 코드 조각을 의미합니다. 간단한 계산부터 복잡한 계산까지의 범위를 포괄하고 있습니다. 값 그 자체 또는 값을 생성해 낼 수 있는 코드를 말합니다. 표현식에는 숫자, 수식, 문자열 등이 존재합니다.

    # 정수 표현식
    42

    # 부동 소수점 표현식
    3.14

    # 덧셈 표현식
    5 + 3

    # 곱셈과 나눗셈 표현식
    (10 * 2) / 5

    # 단일 문자열 표현식
    "Hello, World!"

     

    2. 연산자(Operators)

    혼자서는 기능을 하지 않고(문장이 될 수 없음) 다른 값과 결합해서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산술, 비교, 논리 연산자 등이 있습니다.

    # 산술 연산자
    a = 5
    b = 2
    sum_result = a + b
    sub_result = a - b
    mul_result = a * b
    div_result = a / b

    # 비교 연산자
    is_equal = (a == b)
    is_not_equal = (a!= b)
    greater_than = (a > b)
    less_than = (a < b)

    # 논리 연산자
    logical_and = (a > 0) and (b > 0)
    logical_or = (a > 0) or (b > 0)

     

    3. 키워드(Keyword)

    파이썬이 만들어질때 정의된 단어들을 의미합니다. 파이썬의 키워드 단어들 변수나 함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파이썬의 대표 키워드 30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키워드를 사용할 때에는 대소문자를 정확히 구분하여 입력해야 합니다.

    1. True
    2. False
    3. None
    4. and
    5. as
    6. assert
    7. break
    8. class
    9. continue
    10. def
    11. del
    12. elif
    13. else
    14. except
    15. finally
    16. for
    17. from
    18. global
    19. if
    20. import
    21. in
    22. is
    23. lambda
    24. nonlocal
    25. not
    26. or
    27. pass
    28. raise
    29. return
    30. try

    4. 식별자(Identifier)

    식별자는 키워드와 다르게 애초에 정해져서 사용하는 단어가 아니고 프로그래밍을 진행하면서 변수, 함수, 클래스, 모듈 또는 다른 객체를 식별하기 위해 만들어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기호를 빌려서 값을 표현하는 것으로 파이썬 식별자를 만드는 데에는  4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1.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됨: 식별자는 문자(A-Z, a-z)나 언더바(_)로 시작해야 합니다.
    2. 특수문자는 언더바(_)만 사용함: my_variable, variable2, some_function와 같은 식별자가 가능합니다.
    3.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음: 파이썬 언어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키워드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if, else, for, while, 등)
    4. 공백을 포함할 수 없음

    일반적으로 파이썬 식별자를 사용할 때는 최대한 의미 있는 알파벳 단어로 사용하고 변수명에는 소문자와 언더바(_)를 쓰는 스네이크케이스를, 클래스명에는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캐멀케이스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스네이크케이스로 작성한 식별자는 뒤에 괄호의 유무에 따라 함수와 변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괄호가 있으면 함수를 괄호가 없다면 변수를 표현한 것입니다.


    주석(Commnets)

    파이썬에서 주석이라는 것은 코드 내에서 설명이나 메모를 입력하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 해시 기호로 시작되는 문장은 주석처리가 되어 파이썬 코드를 실행할때에 무시하고 넘어가게 됩니다.


    출력함수 print()

    print함수는 화면에 텍스트를 출력해내는데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print(): print라는 단어와 괄호를 입력하고 출력하고자 하는 값을 괄호안에 넣어서 실행하면 됩니다. 소문자 p로 작성해야하며 여러개를 출력하고 싶으면 쉼표로 구분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줄바꿈을 넣고싶다면 괄호안에 공백을 두면 됩니다. 출력하고자하는 값이 숫자가 아닌 문자형의 텍스트인경우에 큰따옴표안에 입력을 해야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