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리스트는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 구조 중 하나입니다.
리스트의 기본 생성방법부터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알아봅시다.
1. 리스트의 기본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생성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대괄호([,])를 사용하는것입니다. 리스트 내부의 요소는 쉽표(,) 로 구분합니다.
# 빈 리스트 생성
a = []
# 숫자로 이루어진 리스트
b = [1, 2, 3]
# 문자열을 요소로 가진 리스트
c = ['Life', 'is', 'too', 'short']
# 혼합 데이터 타입 리스트
d = [1, 2, 'Life', 'is']
# 리스트 안의 리스트
e = [1, 2, ['Life', 'is']]
비어있는 리스트는 a = list()라는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2. 리스트 인덱싱
리스트의 각 요소는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a = [1, 2, 3]
print(a[0]) # 첫 번째 요소 출력
print(a[2]) # 세 번째 요소 출력
print(a[-1]) # 마지막 요소 출력
2.1 중첩된 리스트 인덱싱
중첩된 리스트에서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a = [1, 2, 3, ['a', 'b', 'c']]
print(a[-1][0]) # 'a' 출력
2.2 삼중 리스트 인덱싱
삼중리스트 예시에서 특정 값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a = [1, 2, ['a', 'b', ['Life', 'is']]]
print(a[2][2][0]) # 'Life' 출력
3. 리스트 슬라이싱
리스트 슬라이싱을 통해 리스트의 부분집합을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싱은 리스트명[start:end] 형식을 사용합니다.
a = [1, 2, 3, 4, 5]
print(a[0:2]) # [1, 2] 출력
리스트 슬라이싱을 할때에는 시작 인덱스는 포함되지만, 종료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합니다.
# 리스트 a에서 인덱스 2부터 나머지 부분을 추출
print(a[2:]) # [3, 4, 5] 출력
3.1 중첩된 리스트 슬라이싱
a = [1, 2, 3, ['a', 'b', 'c'], 4, 5]
print(a[2:5]) # [3, ['a', 'b', 'c'], 4] 출력
print(a[3][:2]) # ['a', 'b'] 출력
리스트는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유연하고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조직하고 처리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인덱싱과 슬라이싱 기법을 익히면 더 복잡한 데이터 구조도 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
반응형
'지식의 공간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11. 자료형 리스트 함수(append, sort, reverse, index, insert, remove, pop, count, extend) (0) | 2024.04.30 |
---|---|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10. 자료형 리스트 (연산하기, 수정, 삭제) (0) | 2024.04.30 |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8. 문자열 f 포매팅과 내장 함수 10가지(count, index, join 등) (1) | 2024.01.21 |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7. 파이썬 문자열 함수(.format 등) (1) | 2024.01.19 |
비전공자의 파이썬 독학 6.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 (0) | 2024.01.14 |